안녕하세요?
오늘은 연산자, 그중에서도 산술 연산자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• 산술 연산자
산술 연산자란 우리가 일생생활에서 많이 하는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과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 입니다.
딱히 어려울 것이 없기 때문에 정의와 기호만 정확하게 외워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.
그럼 본격적으로 산술 연산자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 볼까요?
우리가 코딩을 하면서 아까 말했듯이 사칙연산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.
그중 덧셈을 하기 위해서는 덧셈 기호인 '+' 를 쓰면 됩니다.
예) a + b;
그리고 뺄셈도 마찬가지 입니다.
예) a - b;
곱셈은 흔히 말하는 '별' 기호를 씁니다.
예) a * b;
마지막으로 나눗셈은 '슬래시' 를 쓰죠.
예) a / b;
그리고 특별한 것 하나 더 있습니다.
바로 '나머지' 입니다.
나머지의 기호로 우리는 '퍼센트' 기호를 씁니다.
예) a % b;
이렇게 산술 연산자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.
예제를 볼까요?
<예제>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int a = 10, b = 3;
printf("%d ",a + b);
printf("%d ",a - b);
printf("%d ",a * b");
printf("%d ",a / b);
printf("%d ",a % b);
}
<결과>
13 7 30 3 1
이렇게 되겠습니다.
다시 말하자면, +, -, *, /, % 라는 기호와, 그 기호가 의미하는 것에 관해서만 확실히 알고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.
제 강의를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.
수정할 사항은 꼭 제보해 주세요.
'C언어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복합 대입 연산자, 관계 연산자 (4) | 2020.02.08 |
---|---|
<잠깐 쉬어가기> 코딩을 잘하는 방법 (6) | 2020.02.03 |
아스키 코드표 (0) | 2020.02.01 |
변수의 저장 범위 (0) | 2020.02.01 |
입력문과 출력문(2) (0) | 2020.01.30 |